11월, 2021의 게시물 표시

호주국인 사망으로 한국내 부동산에 관한 상속등기절차를 호주국법을 적용하여 등기한 사례

이미지
2021 년 4 월 문의전화로 시작되어 2021 년 7 월에 완료된 상속등기건이다 .   호주 NSW( 뉴사우스웨일즈주 ) 에서 온 재외국민 윤 ** 님의 문의로서 남편되는 호주인 G** 분이 호주에서 사망하셨으며 서울소재 2 분의 1 의 남편지분을 부인앞으로 상속등기를 진행하는 건이었다 .   피상속인인 호주인 G** 분은 원래 호주인이며 부인은 현재 호주 영주권자셨다 .   호주국인 사망과 한국내 부동산 상속등기하기 상속에 있어서 대한민국의 국제사법은 상속과 반정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다 제 49 조 ( 상속 ) ① 상속은 사망 당시 피상속인의 본국법 에 의한다 . 제 9 조 ( 준거법 지정시의 반정 ( 反定 ) ① 이 법에 의하여 외국법이 준거법으로 지정 된 경우에 그 국가의 법에 의하여 대한민국 법이 적용되어야 하는 때에는 대한민국의 법에 의한다 .   이번 건은 피상속인의 거주지인 호주 뉴사우스웨일주즈주 상속법을 적용하여 진행하였다 .   호주 NSW 의 경우는 누군가 사망했을 경우 망자의 재산을 정리 하기 위해 집행권한이 있는 Excutor 가 Supreme Court 에 신청서를 제출하고  허가를 받아야한다 . 물론 적법 , 유효한 유언장을 남긴 경우라면 유언장에 이미 집행자가 지정되어있을 것이고 유언장 없이 사망했다면 배우자 또는 가까운 친족이 신청서를 접수해서 집행 권한을 받아야한다 .   상속인이며 집행자인 배우자 윤 ** 의 꼼꼼함 과 스마트함덕에 일은 그마나 수월하게 진행되었으며 , 마치 호주가 옆동네로 생각될 만큼 많은 통화와 소통이 있었다 . 혼자서 호주에서 상속관련 서류 준비로 법원 , 변호사사무실 , 영사관 등등을 이리 저리 뛰어다니시면서 지쳐하시는 모습을 안 봐도 보는듯했다 . 그나마 상속등기가 깔끔하게 끝나서 안도하시는 모습에서 혼자서 호주에서 살아갈 배우자 윤 ** 님께 마음으로 응원에 박수를 보내게 된 사건이었다 .

사례)외국인명의의 근저당권말소등기사례

이미지
사례) 한국내 부동산을 급하게 매도하는 경우 등기부등본상 외국인명의의 근저당권이 설정되어 있어 이를 잔급 수령 전까지 말소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처음부터 외국인 명의로 되어 있는 근저당권이면 크게 문제가 없으나 한국인 이름으로 설정이 된 후 채권자가 후일 외국국적을 취득한 경우는 준비해야할 서류가 판이하게달라진다. 자칫 공증을 잘못 받게 되면 다시 서류를 작성해서 공증을 받아야 하므로 처음부터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일처리를 하는것이 공증비용 및 말소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아래 사례는 당사자가 잘 안다면서 저희 사무소의 안내를 무시하고 자신의 생각을 기준으로 서류를 보내 온 결롸 두번 세번에 걸쳐서 말소에 필요한 서류를 준비하게 되어 엄청난 비용을 추가로 들이는 수고를 치르고서야 말소를 할 수 있었다. 2021 년 10 월 급한 문의였다 . 충남 토지를 매도하려는 이 ** 이셨는데 매매계약을 했으며 잔금일 이전에 잡혀있던 근저당권을 말소해야 하는 것이셨다 . 당연히 일반적인 말소는 아니었다 , 근저당권의 근저당권자 오 ** 님이 근저당권설정 당시에는 한국인 신분이였는데 2015 년 캐나다 시민권을 취득했고 국적상실신고 또한 하지 않으셨다는 것이다 . 근저당권자인 오 ** 님은 말소를 당연히 너무나 해주고 싶은데 ... 국적상실이 되어있지 않고 , 또한 근저당권에 대한 권리증도 없으시고 , 당연히 입국은 엄두도 못내고 계시며 , 시일은 촉박했다 .   캐나다계신 근저당권자와 카톡을 통해 정보를 주고받아 공증하실 서류를 작업해서 보내드리고 싶었으나 본인은 너무 바빠서 긴 통화를 할 수 없었고 , 자신이 알아서 서류 보내줄 테니 말소만 하라 하시니 ... 난감했다 . 별수없이 서류작업을 해드릴 수 없어 이메일을 통해 자세히 공증할 내용만을 설명하고 절대적으로 꼭 필요한 내용을 알려드렸다 .   두둥 !! 캐나다에서 서류가 도착했고 ! 급하게 처리해야하는데 .. 역시나 본인의 고집대로 공증을 받아온 결과 서류가 부족했다 . 또한 공증 서